주제
천주교의 확산과 탄압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조선에 서학, 천주교가 소개된 것은 선조 말년 『천주실의』란 책을 통해서였다. 18세기에 들어와서는 학자들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서학과 천주교를 검토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남인학자들이었으며, 대표적인 사람으로 성호 이익(李瀷)을 들 수 있다. 당시 조선사회의 이데올로기가 되었던 주자학은 관념적 이론으로 붕괴해가는 조선 봉건사회에 아무런 기여를 못하게 되자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을 주장하였는데, 그때 마침 연경을 통해 들어온 서학, 천주교가 주목되었다.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었던 서학이 점차 신앙적 차원으로 나아갔다. 그러한 현상은 성호의 제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 대표적인 인물로 이벽(李蘗)을 들 수 있다.

 

1784년(정조 8)부터는 이벽뿐만 아니라 남인계통의 학자, 사대부들이 중심이 되어 천주교 신앙이 전파되어 정조 중반에 이르러서는 더욱 치열해지고, 심지어는 삼남지방에까지 퍼졌는데 특히 유림의 본고장인 경상도에까지 퍼져나갔다.2)

이러한 전파는 단순히 교리의 전파 차원을 넘어 신앙실천운동의 차원으로까지 발전하였다. 가령 “정조 연간에는 천주교도들이 사당을 부수고 제사를 폐지하기도 하였는데, 그런 무리가 해서(海西)로부터 관동(關東)에 걸쳐 번성하였을 정도였다”3)고 한다. 봉건 지배층은 이들 천주교도가 기존의 사회질서를 뒤엎을 것이라는 위기의식에 사로잡혔고, 이러한 신앙운동은 주자학 체제에 대한 도전이라 단정하여 탄압을 가하기에 이르렀다.

 

천주교도들의 신분과 문벌을 초월한 평등논리가 신분차별, 서얼차대, 문벌중시에 입각한 조선사회의 봉건적 지배질서를 파탄시킬 것이라 우려했기 때문에 조선사회를 근본적으로 동요시키는 사학체계(邪學體系)로 인식하여 천주교를 탄압하는 척사논리가 강화되었다.

정조 사후, 순조의 등극과 함께 정권을 장악한 노론 벽파는 반대파인 남인의 정치적 잔명마저 일거에 치기 위해 천주교를 탄압하였다. 이러한 봉건정부의 대응은 정적의 제거를 넘어서서 봉건 이데올로기에 대한 천주교의 도전을 물리치고자 한 사상통제의 일환이었다. 이즈음에 일어난 황사영 백서(帛書) 사건은 봉건정부로 하여금 천주교를 탄압할 수 있는 호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상통제를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내적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일련의 양상들이 18세기 말을 기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니 이양선(夷洋船)의 출몰이다. 이양선은 1850년대에 들어와서는 단순히 통상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뭍에 상륙하여 노략질을 하고 조선인들에게 총질을 가해 살상시키기까지 했다.4) 조선 정부는 서양세력의 침입에 강한 위기의식을 느꼈다.

이러한 위기의식은 병인박해라는 대대적인 천주교도 탄압으로 나타났다. 병인박해 직전 천주교세는 매우 확장되어 있었다. 1865년(고종 2)에는 2만 3천 명의 신도들이 있었고 국내에 잠입한 외국 선교사도 12명을 헤아렸다.5)

 

이 무렵 조선사회는 외부적으로는 서양세력의 침입, 내부적으로는 대원군의 서원철폐, 경복궁 중건정책 등의 영향으로 매우 불안한 상태에 있었으며 민중들은 이러한 불안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곤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대내외적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희생양으로 선택한 것이 바로 천주교도들이었다. 그들은 박해에 저항할 수 없는 소수파였으며, 또 하나는 그들이 당시 조선사회의 전통적인 이데올로기(유교) 대신 새로운 사조(천주교)를 따른다는 점이었다.6) 천주교회측에서는 이 3년 동안 순교한 신자들의 수를 불법적으로 살해된 사람들까지 합쳐 8천여 명쯤으로 추산하고 있다.7)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