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집터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지역에서 지금까지 조사된 청동기시대 집터는 점동면 흔암리유적이 있다.

이 흔암리유적은 발굴조사 결과, 한반도의 서북과 동북지역 문화가 서로 융화되는 문화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된다.

 

점동면 흔암리 흔바위마을의 남한강 언저리에 위치한 이 유적은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고고학과에서 1972년부터 1978년까지 7차례에 걸쳐 모두 16채의 집터를 발굴하였다.1)

집터는 산경사면을 이용하여 안쪽을 파 ㄴ자 모습을 한 상태에서 집을 지었으며, 평면은 모두 긴 네모꼴이다. 거의 대부분 산흐름의 방향과 나란하여 주변의 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였던 것 같다.

움의 깊이는 15~120cm로 집터마다 차이가 있고 같은 집터에서도 네 벽이 서로 달라 몇몇 집터는 지붕의 서까래가 땅에 닿지 않는 반움집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집터의 크기는 11.6㎡~42.0㎡로 다양한 편인데 이것은 집터의 쓰임새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집터에서 찾은 시설로는 나들이자리·화덕자리·구멍자리·벽과 선반이 있다. 나들이자리는 1호 집터에서 찾았는데 집터의 바닥 쪽으로 조금씩 낮아져 경사를 이루고 있다.

화덕자리는 대부분 집의 가운데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특별한 시설 없이 맨바닥을 파서 타원형으로 만들었다. 8호 집터의 것은 찰흙을 쌓아 만든 U자 모양으로 지금까지 나온 예가 없는 독특한 것이다.2)

 

구멍자리는 저장구멍과 기둥구멍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저장구멍은 12호 집터에서 7개가 찾아졌을 뿐 다른 집터에서는 없었다. 그런데 흔암리 집터에서 조사된 여러 정황들을 보면 살림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던 것으로 여겨져 저장시설은 꼭 필요하였던 것 같다.

 

12호와 14호 집터는 긴 네모꼴이면서 바닥에 찰흙을 깔아서 다진 점, 화덕은 바닥을 파거나 그대로 이용한 점, 바닥 안쪽에 3줄의 기둥구멍이 있고, 또 벽 쪽에 일정 간격으로 작은 기둥구멍이 있는 점 등은 팽이형토기가 나오는 유적의 집터와 아주 비슷하여 이곳 흔암리유적과 서북지역 팽이형토기문화와의 교류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그리고 집터의 시설을 보면 13호와 14호 집터에서는 흙벽으로 이루어진 칸막이가, 14호 집터에서는 선반이 나왔다. 14호 집터의 선반은 바닥보다 20cm쯤 높은 곳에 만들어져 있었는데 석기들이 남아 있어 보관을 하던 곳이었던 것 같다.

 

흔암리 집터에서 나온 석기는 간돌검·돌화살촉·돌창·반달돌칼·가락바퀴·갈돌과 갈판·모루돌·돌도끼·바퀴날도끼 등이 있다.

간돌검은 12호 집터에서 한꺼번에 5점이 나와 주목된다. 흔암리 집터에서 나온 간돌검은 1단과 2단 자루식이 섞여 있는데 한강유역에서 나온 2단 자루식 간돌검으로는 꽤 이른 시기에 속한다. 돌화살촉은 흔암리유적에서 가장 많이 나온 석기로 생김새는 삼각형만입촉(三角形彎入鏃)·슴베촉[1단·2단 莖鏃]·원통모양[圓筒形]·돌바늘모양[石針形]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삼각형만입촉이 가장 많다.

 

반달돌칼은 생김새로 보아 단주형(短舟形)이 가장 많으며, 만든 감은 점판암·사암·편암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점판암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돌도끼는 안팎날(조개날)간돌도끼·외날간돌도끼·뗀돌도끼 등이 나왔다. 이 가운데 뗀돌도끼의 쓰임새를 보면 개간할 때 땅을 파는 역할을 하였던 것 같아 흔암리유적의 생업경제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토기는 민무늬토기를 비롯하여 늦은 빗살무늬토기·구멍무늬토기·팽이형토기·여러 생김새의 붉은간토기·골아가리토기·덧띠토기가 있다. 토기로 보아 구멍무늬토기·붉은간토기·골아가리토기 등의 동북지역요소와 팽이형토기 계통의 서북지역 문화요소가 섞여 있는 양상이다.

흔암리유적에서 찾은 농경자료는 12호와 14호 집터에서 나온 것으로 탄화된 쌀·조·수수·보리 등이 있다.

 

한편 흔암리 집터에서는 쌀을 비롯한 여러 가지 곡식이 나와 혼합농경(Mixed Agriculture)을 하였던 것 같으며, 이와 비교되는 유적으로 평양 남경유적(36호 집터)을 들 수 있다.

흔암리유적의 연대에 관하여는 크게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와 출토유물을 통한 상대연대측정이 있다. 유물을 통한 상대 유적과의 비교 결과, 중심연대를 B.C. 7세기경으로 잡고 있지만,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으로 보아 다시 계산하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속하는 12호 집터는 B.C. 16세기경으로 밝혀지고 있어 흔암리유적은 한강유역권의 민무늬토기유적 가운데 이른 시기에 속할 것이 분명하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